애플페이 교통카드와 태그리스 결제, 서울 대중교통의 새로운 변화
드디어 기다리던 소식이 들려왔다. 티머니가 16일 공식 발표를 통해 애플페이와의 연동 서비스를 예고했다. 2023년 3월 국내 출시 이후 2년여 만에 애플페이로도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게 되는 셈이다.
늦었지만 반가운 애플페이 교통카드 지원
그동안 애플페이는 편의점이나 대형 프랜차이즈 매장 위주로만 사용할 수 있어서 아쉬움이 컸다. 삼성페이나 다른 간편결제 서비스에 비해 교통카드 기능이 없다는 점은 분명한 한계였다.
이렇게 시간이 걸린 배경에는 몇 가지 이유가 있었다. 교통카드 사업자 입장에서는 애플의 EMV 컨택리스 규격에 맞춰 단말기를 교체해야 하는 부담이 있었고, 애플에 지급해야 하는 수수료 문제도 있었다. 하지만 이제 드디어 해결의 실마리가 보이고 있다.
티머니 측에서는 구체적인 내용은 추후 공개하겠다고 했지만, 아이폰과 애플워치 사용자들에게는 분명 반가운 소식이다.
더 놀라운 변화: 태그리스 결제의 등장
애플페이 지원보다 더 흥미로운 것은 '태그리스 결제' 시스템이다. 올 10월부터 서울 시내버스 36개 노선, 580여 대에서 시범 운영된다.
태그리스 결제는 말 그대로 교통카드나 스마트폰을 단말기에 대지 않아도 되는 시스템이다. 스마트폰이 주머니나 가방 안에 있어도 자동으로 결제가 처리된다. BLE(저전력 블루투스) 기술을 활용한 것으로 보인다.
누구에게 도움이 될까?
이 시스템의 장점은 생각보다 다양하다:
교통약자를 위한 배려가 돋보인다. 어린이나 노약자, 목발 사용자처럼 손을 자유롭게 쓰기 어려운 분들에게는 정말 유용할 것 같다. 비가 오거나 양손에 짐을 가득 들었을 때도 마찬가지다.
안전성 측면에서도 개선점이 있다. 하차를 위해 미리 일어서서 카드를 준비할 필요가 없으니 급정거 상황에서 넘어질 위험이 줄어든다.
깜빡함 방지 효과도 기대된다. 내릴 때 태그하는 걸 잊고 그냥 내리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이런 실수도 줄어들 것이다.
기존 시스템과의 조화
다행히 기존 태그 방식과 함께 운영되기 때문에 선택의 여지가 있다. 태그리스 시스템이 없는 버스나 지하철과의 환승도 문제없이 가능하다고 한다.
사용법도 간단하다. 모바일 티머니 앱에서 '태그리스 결제 사용하기'만 설정하면 된다.
앞으로의 전망
티머니 김태극 대표는 이번 시범사업을 "대한민국 대중교통 결제의 새로운 전환점"이라고 표현했다. 다소 과장된 표현일 수도 있지만, 분명 의미 있는 변화의 시작점이 될 것 같다.
2023년부터 2024년까지 실증사업을 거쳐 이제 본격적인 시범 서비스에 들어가는 만큼, 시행착오를 거쳐 안정적인 서비스로 자리잡기를 기대해본다.
개인적으로는 애플페이 교통카드 지원과 태그리스 결제 모두 환영할 만한 변화라고 생각한다. 기술의 발전이 실제 시민들의 편의로 이어지는 좋은 사례가 되길 바란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크롬 시작시 원하는 사이트 자동열기 설정 (5) | 2025.06.18 |
---|---|
연결이 비공개로 설정되어 있지 않습니다 1초만에 해결 (4) | 2025.06.16 |
구매전 호카 호파라1 과 호파라2 비교 (2) | 2025.06.16 |
크롬에서 팝업 차단 해제하려면 어떻게 해요? (0) | 2025.06.16 |
크롬이 느려졌을 때 해결하는 방법 (0) | 2025.06.16 |